제가 어릴 적부터 만화책 모으는 게 취미였거든요. 그런데 이게 책장이 하나둘 늘어나면서 공간도 부족하고, 먼지도 쌓이고, 무엇보다 원하는 책을 찾기가 너무 힘들더라고요. 그러다 디지털 도서관이라는 개념을 알게 되었고, 시놀로지 NAS를 활용해서 저만의 Komga 서버를 구축하기로 마음먹었죠. 처음엔 좀 막막했지만, 하나씩 따라 해보니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어요. 저처럼 책 정리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고 싶은 분들을 위해 제가 직접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Komga 설치 과정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! 😊
Komga, Docker, Synology, 왜 함께해야 할까요? 🤔
우선 Komga, Docker, Synology 이 세 가지가 왜 환상의 조합인지 간단히 설명해 드릴게요. 딱딱하게 설명하기보다는 왜 제가 이 조합을 선택했는지 제 경험을 곁들여 얘기해 드릴게요.
- Komga: 나만의 디지털 도서관
Komga는 만화책, 웹툰, 소설 등 다양한 디지털 문서를 관리하고 스트리밍할 수 있는 오픈소스 서버 프로그램이에요. 저는 특히 자동 메타데이터 인식 기능과 깔끔한 웹 인터페이스가 너무 마음에 들었어요. 여러 장치에서 제 만화들을 쉽게 볼 수 있다는 점도 좋았죠. - Docker: 깔끔하고 안전한 설치
도커(Docker)는 쉽게 말해 프로그램을 독립된 공간에 설치하게 해주는 기술이에요. 시놀로지 NAS에 Komga를 직접 설치하면 시스템에 이런저런 파일이 섞여서 나중에 관리하기가 복잡해질 수 있는데, 도커를 이용하면 Komga만 딱! 격리된 공간에서 실행돼서 나중에 삭제하거나 업데이트할 때도 너무 깔끔해요. 혹시 모를 충돌 걱정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죠. - Synology NAS: 든든한 개인 서버
시놀로지 NAS는 저처럼 데이터 저장과 관리에 관심 있는 분들께 정말 좋은 개인 서버예요. 24시간 켜져 있어서 언제든 Komga에 접속할 수 있고, 안정적인 하드웨어와 사용하기 쉬운 DSM(DiskStation Manager) 덕분에 초보자도 쉽게 관리가 가능해요. 제 소중한 디지털 만화책들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든든한 금고 같은 존재랄까요?
이 세 가지의 조합은 마치 잘 짜인 팀워크 같아요. Komga가 자료를 관리하고, Docker가 깔끔하게 실행 환경을 만들고, Synology NAS가 이 모든 것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주는 거죠. 이 모든 게 제 손으로 가능하다는 게 참 신기하고 뿌듯했답니다.
Komga Docker Synology 설치, 이제 시작해볼까요? 📝
자, 이제 본격적으로 시놀로지 NAS에 Komga를 설치하는 과정을 시작해볼게요. 차근차근 따라오시면 누구나 성공할 수 있습니다!
설치 전 시놀로지 NAS에 Docker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. DSM(DiskStation Manager)의 패키지 센터에서 쉽게 설치할 수 있어요!
1단계: Komga 데이터 저장 폴더 생성
Komga가 사용할 설정 파일과 데이터베이스 등을 저장할 폴더를 만들어야 해요. 나중에 백업하거나 관리할 때 이 폴더가 중요하게 사용됩니다.
- DSM 파일 스테이션 접속: 시놀로지 DSM에 로그인한 후, ‘파일 스테이션’을 실행합니다.
- 새 공유 폴더 생성: 저는 ‘docker’라는 공유 폴더 안에 ‘komga’라는 폴더를 만들었어요. 예를 들어,
/volume1/docker/komga
이런 식으로요. 물론 원하시는 위치에 만드셔도 상관없지만, 도커 관련 폴더는 한 곳에 모아두는 게 관리가 편합니다. - 만화/소설 파일 폴더 준비: Komga가 스캔할 실제 만화책이나 소설 파일들이 저장된 폴더를 준비하세요. 예를 들어,
/volume1/data/comics
처럼요. 이 폴더는 나중에 Komga 설정에서 ‘라이브러리’로 추가할 거예요.
2단계: Docker Compose 파일 생성 및 수정
Komga를 도커로 설치하는 가장 편리한 방법은 Docker Compose를 이용하는 거예요. 이 파일을 만들어서 실행하면 필요한 모든 설정이 한 번에 적용됩니다.
Docker Compose YAML 파일 내용
version: '3.9'
services:
komga:
image: ghcr.io/komga/komga:latest
container_name: komga
ports:
- "25600:8080" # 외부 포트:컨테이너 포트 (왼쪽 25600은 원하는 포트 번호로 변경 가능)
volumes:
- /volume1/docker/komga:/config # Komga 설정 파일 및 데이터베이스 저장 경로 (앞 부분 변경)
- /volume1/data/comics:/comics:ro # 만화책 파일 경로 (앞 부분 변경, :ro는 읽기 전용)
- /volume1/data/books:/books:ro # 소설 파일 경로 (앞 부분 변경, :ro는 읽기 전용)
environment:
- KOMGA_HOME=/config # Komga 홈 디렉토리
- KOMGA_LIBRARIES_SCAN_CRON=0 0 3 * * * # 매일 새벽 3시 라이브러리 자동 스캔 (원하는 시간으로 변경)
- TZ=Asia/Seoul # 타임존 설정
restart: unless-stopped
- 파일 생성: 텍스트 편집기(메모장, Notepad++ 등)를 열어 위 내용을 복사한 후,
docker-compose.yml
이라는 이름으로 저장합니다. 저장 위치는 1단계에서 만든/volume1/docker/komga
폴더 안에 두시면 좋아요. - 경로 수정: 위 코드에서
/volume1/docker/komga
,/volume1/data/comics
,/volume1/data/books
부분은 여러분의 실제 시놀로지 NAS 경로에 맞춰 수정해야 합니다. - 포트 번호 조정:
25600:8080
에서25600
은 외부에서 Komga에 접속할 때 사용할 포트 번호예요. 다른 서비스와 겹치지 않게 원하는 번호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.8080
은 Komga 컨테이너 내부 포트이므로 변경하지 마세요. - 자동 스캔 시간 설정:
KOMGA_LIBRARIES_SCAN_CRON=0 0 3 * * *
이 부분은 매일 새벽 3시에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스캔하도록 설정하는 거예요. 크론 표현식에 익숙하시다면 원하는 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어요. - 타임존 설정:
TZ=Asia/Seoul
은 한국 시간대로 설정하는 거예요.
3단계: SSH 접속 및 Docker Compose 실행
이제 시놀로지 NAS에 SSH로 접속해서 Docker Compose 파일을 실행할 차례예요.
- SSH 활성화: DSM 제어판 > 터미널 및 SNMP > 터미널에서 SSH 서비스를 활성화합니다.
- SSH 접속: PuTTY (Windows) 또는 터미널 (macOS/Linux) 같은 SSH 클라이언트를 이용해 NAS에 접속합니다. 사용자 이름은 NAS 관리자 계정, 비밀번호는 해당 계정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. (예:
ssh ваш_пользователь@NAS_IP_주소
) - root 권한 획득: 접속 후
sudo -i
명령어를 입력하여 root 권한을 획득합니다. (관리자 비밀번호 한 번 더 입력) - 폴더 이동:
cd /volume1/docker/komga
명령어를 입력하여docker-compose.yml
파일이 있는 폴더로 이동합니다. - Komga 실행: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여 Komga 컨테이너를 실행합니다.
docker compose up -d
-d
옵션은 백그라운드에서 컨테이너를 실행하여 SSH 연결을 종료해도 Komga가 계속 작동하도록 합니다.
SSH로 접속할 때는 정확한 NAS IP 주소와 관리자 계정 정보를 입력해야 합니다. 또한,
docker compose up -d
명령어를 실행하기 전에는 반드시 docker-compose.yml
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했는지 확인하세요. 그렇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!
Komga 초기 설정 및 라이브러리 추가 📚
이제 Komga 컨테이너가 성공적으로 실행되었다면,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여 초기 설정을 진행하고 만화책 라이브러리를 추가할 차례예요.
1단계: Komga 웹 인터페이스 접속
- 웹 브라우저를 열고
http://[NAS_IP_주소]:[설정한_포트_번호]
를 입력합니다. 예를 들어, NAS IP가 192.168.1.100이고 설정한 포트가 25600이라면http://192.168.1.100:25600
이 되겠죠. - 첫 접속 시 관리자 계정을 생성하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. 새로운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계정을 만드세요. 이 계정은 Komga 접속 시 사용될 관리자 계정입니다.
2단계: 라이브러리 추가
Komga가 여러분의 만화책 파일을 인식하도록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야 합니다.
- Komga 웹 인터페이스에 로그인한 후, 좌측 메뉴에서 ‘Libraries’ (라이브러리) 메뉴를 클릭합니다.
- ‘Add library’ (라이브러리 추가)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Name (이름): 라이브러리 이름을 입력합니다. (예: ‘만화책’, ‘웹툰’, ‘소설’ 등)
- Root folders (루트 폴더): 이곳이 중요해요.
docker-compose.yml
파일에서 volumes 설정할 때 지정했던 컨테이너 내부 경로를 입력해야 합니다.- 만화책 폴더의 경우:
/comics
- 소설 폴더의 경우:
/books
- *주의: 시놀로지 NAS의 실제 경로(예:
/volume1/data/comics
)가 아니라, 컨테이너에 마운트된 내부 경로를 입력해야 합니다.
- 만화책 폴더의 경우:
- Media type (미디어 타입): 만화책이라면 ‘COMIC’, 소설이라면 ‘BOOK’ 등을 선택합니다.
- 다른 설정들은 기본값을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조절한 후, ‘Create’ (생성)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라이브러리 추가 후, Komga가 자동으로 해당 폴더의 파일을 스캔하기 시작합니다. 파일이 많으면 시간이 좀 걸릴 수 있어요. 스캔이 완료되면 웹 인터페이스에서 여러분의 만화책과 소설들을 확인하고 읽을 수 있습니다!
Komga를 더 스마트하게 활용하는 팁 ✨
Komga는 단순히 책을 저장하고 읽는 것을 넘어, 여러분의 디지털 도서관 경험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해 줄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해요. 제가 실제로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몇 가지 팁을 알려드릴게요.
메타데이터 관리의 중요성
Komga는 파일 이름이나 폴더 구조를 기반으로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인식하지만, 완벽하지 않을 때도 있어요. 이럴 때 수동으로 메타데이터를 편집해 주면 검색이나 분류가 훨씬 용이해집니다.
- 정보 수정: 각 시리즈나 책의 상세 페이지에서 제목, 작가, 출판사, 장르 등을 수정할 수 있어요.
- 태그 추가: 나중에 특정 테마나 분위기의 책을 찾고 싶을 때를 대비해 관련 태그를 미리 추가해두는 것이 좋아요. 예를 들어, ‘판타지’, ‘액션’, ‘힐링’ 같은 태그를 붙여두면 나중에 정말 편리해요.
- 썸네일 변경: 가끔 자동 생성된 썸네일이 마음에 안 들 때가 있잖아요? 그때는 원하는 이미지로 썸네일을 직접 변경할 수 있어서, 제 도서관을 더 예쁘게 꾸밀 수 있었어요.
사용자 계정 관리
가족이나 친구들과 함께 Komga를 사용하고 싶다면, 여러 사용자 계정을 만들어서 각자 자신의 독서 기록과 설정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어요.
- 새로운 사용자 생성: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 후 ‘Users’ 메뉴에서 새로운 계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
- 권한 설정: 각 사용자에게 라이브러리 접근 권한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어요. 예를 들어, 아이들에게는 특정 만화책 라이브러리만 보여주고 싶을 때 유용하죠.
외부 접속 설정 (HTTPS / 도메인)
집 밖에서도 Komga에 접속하고 싶다면, 시놀로지 NAS의 역방향 프록시(Reverse Proxy) 기능을 활용해서 HTTPS로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DSM 로그인 > 제어판 > 응용 프로그램 포털 > 역방향 프록시: 여기서 새로운 규칙을 생성하고, Komga의 내부 포트(8080)와 외부 도메인/서브 도메인을 연결해 주세요.
- SSL 인증서 설정: Let’s Encrypt 등으로 무료 SSL 인증서를 발급받아 적용하면,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더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어요. 저도 이 과정을 통해 안심하고 외부에서 제 만화들을 보고 있답니다.
실전 예시: 40대 직장인 박모모 씨의 디지털 만화 라이프 👨💼
제가 직접 겪은 일은 아니지만, Komga를 설치하고 나서 제 주변 지인 박모모 씨에게 추천해줬을 때의 이야기를 예시로 들어볼게요. 박모모 씨는 저와 비슷하게 어릴 적부터 만화책을 좋아했지만, 결혼하고 아이들이 생기면서 만화책 둘 공간이 없어서 고민이 많았다고 해요.
사례 주인공 박모모 씨의 상황
- 수백 권의 만화책을 가지고 있었지만, 이사 후 보관할 공간이 마땅치 않아 대부분 박스에 넣어두고 있었음.
- 퇴근 후 좋아하는 만화를 보고 싶어도 박스에서 꺼내고 다시 정리하는 과정이 너무 번거로웠다고 함.
Komga 도입 과정
1) 박모모 씨는 제가 추천해 준 대로 시놀로지 NAS를 구매하고 Docker를 설치했어요.
2) 가지고 있던 만화책들을 스캔하거나 디지털 파일로 변환하여 NAS에 저장하고, Komga를 도커로 설치 후 라이브러리에 추가했죠.
3) 처음에는 스캔하는 과정이 좀 힘들었지만, 일단 디지털화되고 나니 신세계가 열렸다고 하더라고요.
최종 결과
– 공간 효율성 극대화: 수백 권의 만화책이 차지하던 물리적인 공간이 사라졌어요. 이제는 깔끔한 서재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죠.
– 언제 어디서든 독서 가능: 출퇴근길 지하철에서 스마트폰으로, 집에서는 태블릿으로 언제든지 원하는 만화를 볼 수 있게 되었어요. 심지어 해외 출장 중에도 VPN을 통해 접속해서 봤다고 하네요!
– 쉽고 빠른 검색: Komga의 검색 기능 덕분에 수많은 만화책 중에서도 원하는 시리즈나 특정 에피소드를 몇 초 만에 찾아볼 수 있게 되었죠.
박모모 씨는 “진작 알았으면 이렇게 고생 안 했을 텐데!”라며 정말 만족해했어요. 저도 박모모 씨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제가 겪었던 편리함을 다시 한번 느꼈답니다. 여러분도 이런 편리함을 꼭 경험해 보셨으면 좋겠어요.
마무리: 나만의 디지털 도서관,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! 📝
어떠셨나요? 시놀로지 NAS에 Komga를 도커로 설치하는 과정이 생각보다 복잡하지 않다는 것을 느끼셨기를 바랍니다. 처음에는 조금 낯설 수 있지만, 한 번 성공하고 나면 여러분의 디지털 독서 생활은 완전히 달라질 거예요. 저도 그랬거든요!
- 공간 제약 해소: 더 이상 쌓여가는 책 때문에 고민할 필요가 없어져요. 모든 책이 디지털 공간에 깔끔하게 정리됩니다.
- 언제 어디서든 접근 가능: 스마트폰, 태블릿, PC 등 어떤 장치로든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나만의 도서관에 접속할 수 있어요.
- 효율적인 관리: Komga의 강력한 메타데이터 기능과 검색 기능으로 수많은 책 속에서도 원하는 자료를 빠르게 찾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.
- 안전한 보관: 소중한 디지털 파일을 NAS에 저장하여 분실 걱정 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.
정말 솔직히 말해서, Komga를 설치한 이후로 제 독서 습관이 확 바뀌었어요. 예전에는 엄두도 못 내던 방대한 만화 시리즈도 부담 없이 보기 시작했고요. 여러분도 이 편리함을 꼭 누려보셨으면 좋겠습니다. 혹시 설치 과정에서 막히는 부분이 있거나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물어봐주세요~ 😊
Komga 설치 핵심 요약
자주 묻는 질문 ❓
docker ps
명령어로 Komga 컨테이너가 정상적으로 실행 중인지 확인하고, NAS 방화벽에서 해당 포트(설정된 외부 포트 번호)가 열려 있는지 확인해보세요.